2025년 산학연 협력 R&D 신규 지원 451억 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산학연 콜라보 R&D 추진계획’을 1월 20일(월) 발표했다.

콜라보 R&D는 2018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중소벤처기업부 대표 산학연 협력 기술개발 사업으로, 총 사업비 200억원으로 2019년부터 2028년까지 10년간 운영된다.
3,770억원(국비). 지원은 1단계 예비연구와 2단계 사업화 R&D로 나누어 지원되며, 1단계 예비연구를 8개월간 완료한 우수과제에 대해서는 2단계 사업화 R&D를 24개월간 지원한다.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총 1,945개 사업에 2,120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22년 기술개발을 완료한 119개 사업의 누적 성과(’20~’23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매출 244억 원, 수출 39억 원, 신규 고용 756명, 특허출원·등록 228건 등의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24년까지는 중소기업이 ‘일반업무’를 통해 하나의 대학이나 연구소와 개방형 업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올해부터는 중소기업과 다수의 대학, 연구기관 간 협력을 통해 국가전략기술분야와 레전드 50+ 등 지역전략분야를 집중 육성하는 ‘컨소시엄형 사업’을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컨소시엄형 과제는 중소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최소 2~4개 세부과제를 구성·수행하는 방식이다.
또한, 세부과제별 기술개발을 통해 도출된 성과물을 개별적으로 상용화하고, 다른 세부과제와의 연계도 가능하도록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한다.

또한, 세부과제를 주관하는 총괄기관이 중소기업인 경우에 한해 해당 중소기업은 컨소시엄 내 세부과제 2개까지 연구개발 주관기관으로 신청할 수 있다.
또한, 컨소시엄형 사업은 일반형 사업과 달리 1단계 예비연구를 마친 후 적용사업 간 상대평가가 아닌 절대평가를 통해 평가 결과가 일정 점수 이상일 경우 2단계 사업화 R&D 지원사업으로 선정된다.
올해는 최소 50~100개 컨소시엄형 사업에 10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각 컨소시엄은 컨소시엄의 목적에 따라 지정분야 내 세부과제수(2~4개) 및 기술개발계획을 자유롭게 기획하고 신청할 수 있다.
한편, 컨소시엄 사업이 아닌 일반사업 추진계획은 23일 발표될 예정이다.
일반사업의 경우 1단계 예비연구 414개, 2단계 실용화 R&D 148개 과제에 총 351억원을 지원한다.
2단계 사업화 R&D 사업은 2023년부터 2024년까지 1단계 예비연구를 진행해 완료한 과제에만 신청할 수 있다.
박용순 중소벤처기업부 기술혁신정책과장은 “2단계 사업화는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진행된다”고 말했다.
새로운 컨소시엄 형태의 사업 구축을 통해 중소기업의 다양한 협업 기술개발 수요를 충족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소기업과 대학, 연구기관의 협업이 중소기업의 성장과 국가 전략기술 분야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앞으로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5년 산학연 협동연구개발사업 지원을 희망하는 중소벤처기업, 대학, 연구기관은 컨소시엄형은 2월 4일부터 2월 24일까지, 지원형은 2월 4일부터 2월 24일까지 지원 가능하다.
일반형 프로젝트. 18시까지 범정부 연구통합지원시스템 홈페이지(www.iris.g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부처간 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연구자 중심 R&D 환경 조성의 시작, 부처간 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www.iris.go.kr

#산학연_콜라보_RnD사업 #중소벤처기업부